티스토리 뷰
NCP(Naver Cloud Platform)에서 CentOS 7.3 운영중 포트포워딩 필요하게 되어 개발용 서버에 설정 과정 기록
기본 환경
Public IP 를 가진 서버(A)를 통해 ncp 내부 네트워크(10.x.x.x) 에 속한 MongoDB 가 설치 된 서버(B) 연결 할수 있도록 세팅
yum - nux misc repo 추가 및 rinetd 설치
# /etc/yum.repos.d/nux-misc.repo 내 추가
[nux-misc]
name=Nux Misc
baseurl=http://li.nux.ro/download/nux/misc/el7/x86_64/
enabled=0
gpgcheck=1
gpgkey=http://li.nux.ro/download/nux/RPM-GPG-KEY-nux.ro
# rinetd 설치
yum --enablerepo=nux-misc install rinetd
/etc/rinetd.conf 내 포트포워딩 정보 추가 및 재시작(적용)
[0] root@dev-toy ~ ➞ vi /etc/rinetd.conf
[0] root@dev-toy ~ ➞ service rinetd restart
Restarting rinetd (via systemctl): [ OK ]
rinetd 설정 전, 후 접속 가능 여부 확인
참고 링크
- https://centos.pkgs.org/7/nux-misc-x86_64/rinetd-0.62-9.el7.nux.x86_64.rpm.html
- Total
- Today
- Yesterday
- 크로니클4
- 테스트서버
- 제로보드 4.1 pl8
- 윤은혜
- zb5
- 신채경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NZEO.com
- 프로그래밍
- 그린피그
- 휴가
- 수도군단
- 리오나
- 이신
- nzeo
- 동국대학교
- ASP 강의
- sitemesh
- 피묻은화살
- 제로보드
- 리니지2
- ucloud
- 궁
- asp
- 주지훈
- 안드로이드
- MSSQL
- 제로보드 5
- 제로보드 보안패치
- 제로보드5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