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이야기는 Trac on Windows, Subclipse, Mylyn 의 후속편 입니다.

TOW 와 Mylyn 을 사용한 프로젝트의 관리는 장점들이 많지만, 아무래도 늘 상 서버를 켜놓아야 한다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선뜻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이동성의 문제나 소스코드 공유나 배포의 문제점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특별한 개인 서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Google Code Project Hosting 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또 Mylyn 으로 내부적인 task 들을 관리하는 방법들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여기에 나오는 내용들은 기본적으로 eclipse 나 subclipse, svn, mylyn 이 뭔지 아는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Google Code Project 에 Project 만들기

http://code.google.com/hosting/ 에 들어가셔서 자신의 google 아이디로 로그인을 일단 합니다.

   

(아... 참고로 google code project hosting 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을 지원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녀석인지라 모든 소스코드가 공개되게 됩니다. 그게 싫다면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하일라이트 된 "Create a new project" 를 누릅니다.

   

그럼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project name 은 domain 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소문자로 써주도록 합니다. Summary 나 Description 역시 적절히 써주고, 이제 아래쪽에 license 를 선택해 줍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들이 나옵니다. 라이센스에 대해서는 적절히 찾아서 써줍니다.

   

혹은 이렇게 CCL 로 사용해줄수도 있습니다. 뭐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배포할 생각이 아니라면 딱히 자세하게 기록할 필요는 없지만요.

   

뭐 프로젝트를 만들었으면 상단의 Profile 을 누르면 위처럼 이동을 하게 됩니다. Project Ownership 은 자신이 운영하는 Project 의 리스트를 보여주는거구요.

   

그 옆의 tab 인 Settings 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저기 보이는 "Your googlecode.com password" 가 중요합니다. (개인비밀번호라서 가렸습니다) SVN 의 비밀번호가 되거든요. 구글코드의 비밀번호는 개인이 지정할 수 없고, 자동으로 생성되는 8자리 난수를 비밀번호로 사용하게 됩니다. 비밀번호를 교체해야 할때는 아래 보이는 Regenerate 를 눌러서 바꿔주면 됩니다.

   

프로젝트 사이트 접속하기

아까전 만든 project site 로 이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까전 만들었던 프로젝트의 project name 이 ssen-test-project 였었죠.

   

도메인은 http://code.google.com/p/ssen-test-project/ 가 됩니다. 하지만... 쓰잘데기 없는 쓰레기 프로젝트를 만들기 싫었는지라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생성 버튼은 안눌렀기 때문에 링크를 따라 들어가도 프로젝트는 없습니다.

   

예제를 개인 프로젝트로 보여드리죠. 최초 인덱스 페이지는 위처럼 나오게 됩니다.

   

Updates 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이 화면에서는 wiki 나 svn 의 update 현황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저 r2 라는 릴리즈 링크를 누르면

   

이렇게 릴리즈 별로 수정된 파일들의 리스트가 나오게 되고, 소스파일들의 경우 어떤 부분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의 분석이 나오게 됩니다.

   

Downloads 의 경우엔 배포할 파일을 등록하는건데, 아직 작업중인지라 등록한게 없네요. action script library 를 만들어서 배포할 생각이라면 swc 파일을 등록해주면 되겠죠. 그 옆에 wiki 가 있고 (wiki 가 뭔지는 다들 아시겠죠...;;;) Issues 의 경우엔 버그리포팅등을 받거나 할 수 있는건데... 딱히 사용할만하지는 않습니다.

   

이제 Source 에 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Browse 는

   

이렇게 소스코드를 보여주고

   

Changes 는 이렇게 커밋 이력을 보여주게 됩니다.

   

그리고, 이 https 로 시작하는 url 이 이제 SVN 의 주소가 됩니다.

   

Subclipse 에서 SVN check out 받기

subclipse 에서 이렇게 새로 Repository Location 을 새로 등록해 줍니다.

   

등록해줄 주소는 아까전에 https 로 시작하는 주소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Finish 를 누르면 아이디/비밀번호를 물어보게 되는데 아이디는 자신의 구글 아이디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아까전에 봤던 자동으로 생성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뭐 그러면 SVN Repositories 에 위와 같이 나올텐데요. 여기서

   

trunk 에 오른클릭을 한 다음에 check out 을 받습니다.

   

check out 을 받다보면 이렇게 내려받을 소스들을 어떤 project 로 만들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대충해서 내려받도록 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Project Explorer 에 check out 받은 것들이 나오게 되는데요. 맨처음에 해줘야 할 일은

   

filters 를 선택해서

   

.* 의 filter 를 풀어주고

   

아무런 .* 에 해당하는 파일들 (.project 같은류의 이클립스 프로젝트 구성 파일들) 을 선택해서 오른클릭 한 다음

   

이렇게 Team > Add to svn:ignore 를 해주도록 합니다.

   

제외패턴에 .* 을 추가해주면 SVN 이 취급할 파일들에 쓰잘데기 없는 이클립스 설정파일들은 제외되게 됩니다. 이걸 해주지 않으면 쓸데없는 파일들까지 커밋이 되어서 매우 지저분한 svn 저장소가 되겠죠.

   

그리고, 위에 보이는 build.ant 처럼 노출되어선 안되는 파일, 폴더 들의 경우 역시 제외패턴에 등록해줘야 합니다. 특히 ant 에 ftp upload build 등을 만들어뒀다면 정보유출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겠죠. (google code search 로 검색하다보면 ftp 비밀번호 확 드러난 애들 꽤 있거든요...;;;)

   

여기까지 작업이 되었다면 이제 평범하게 SVN 을 사용하듯 해주면 됩니다.

   

Mylyn 을 사용해서 Local Repository Task 관리하기

mylyn 을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이렇게 Local Task Repository 가 주어지게 됩니다. Trac 이나 Bugzilla, JIRA 와 같은 외부 서버를 사용하는 Task Repository 가 아닌, Eclipse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당연히 Trac 이나 Bugzilla 와 같이 고급화된 기능은 제공해주지 못하지만 혼자서 작업하는 경우엔 그럭저럭 쓸만한 편입니다. 무엇보다 서버없이 Trac 과 같은 Task 관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지요.

   

mylyn 의 local repository 는 trac 처럼 로드맵, 버전같은 분류를 지원해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분류가 필요한 task 들을 묶을 category 를 만들어서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기 보이는 ssen library 0.1 이란 버전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새로운 task 를 만들때는 위에 보이는 new task 버튼을 눌러서 만들어줍니다.

   

task 를 새로 만들어서 이렇게 써줍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제목과 작업우선순위 (Priority) 를 지정해줍니다. Status 는 Incomplete (작업 미완료) 와 Complete (작업 완료) 를 지정해주게 됩니다. 그 아랫쪽으로 작업에 대한 스케쥴 계획을 지정할 수 있는데요. 필요하다면 Due date 등을 지정해주면 좋습니다.

   

그렇게 이것저것 task 들을 만들어주면 이렇게 리스트가 보여지게 되는데요. 앞쪽의 아이콘 표시를 보면 알겠다시피 Priority 와 Complete 에 대한 상황을 표시해주게 됩니다. 완료 목록의 경우 strike 처리가 되어서 보이게 되죠.

   

Mylyn 의 Task Activation 사용해서 작업하기

마지막으로 Mylyn 의 task activation 을 살펴보도록 하죠.

   

task 리스트의 앞쪽을 보면 저렇게 동그라미 표시들이 있는데요. 위에 채워져서 보이는 동그라미 (폰트가 bold 처리된 녀석) 은 현재 작업 활성화가 되어있다는 뜻입니다.

   

일단 간단한 시나리오를 보여드리자면

   

이렇게 Activation 을 클릭해서 바꿔주게 되면

   

Eclipse 의 작업창들이 모두 닫혀지게 됩니다. 이것은 새로운 task 의 작업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리고 이렇게 소스코드 몇개를 열어놓은 다음에

   

Activation 을 해제해 주면

   

다시 작업창들이 닫히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Activation 을 활성화 해주면

   

이렇게 닫혔던 작업창들이 다시 열리게 됩니다.

   

즉, task 의 activation 단위로 최종 작업환경을 기억해주기 때문에 task 의 흐름대로 체계적인 작업관리를 해줄 수 있습니다. 보통 tab 을 스스로 열고, 닫고 하면서 작업하시는 분들의 경우 맨 처음엔 익숙지 않아서 당황할 수 있으나, 익숙해지면 매우 편리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task 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svn 커밋을 시도하면

   

커밋시에 이렇게 자동으로 안내 메세지가 입력되게 됩니다.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진행하다보면 커밋 로그를 분석하는 것도 상당히 피곤한 일이 되는데, 이렇게 task 단위로 작업하고, task 단위로 커밋을 하다보면 자신이 어떻게 작업을 했었는지에 대해서 쉽게 쉽게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